띵동~~!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a404a82434.png)
"푸시 알림, 메세지가 도착했습니다."
이런 경우 있지 않나요?
푸시가 왔는데 나랑은
아무런 관련이 없는 푸시일 경우...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f304847da0.png)
괜히 해당 업체에 대해 반감이 생기고
귀찮은 메세지를 보내는 업체라는
생각까지 들기도 합니다ㅜㅜ
아마 이런 푸시를 받아본 사용자분들이시라면
누구나 공감할 만한 내용 일 텐데요.
그렇다면!
이번에는 업체 입장에서..
사용자들의 반감을 사는 푸시는 줄이면서,
사용자들에게 업체를 상기시키는 방법은 무엇일까요??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a40d635f30.png)
[그룹화를 통한 정교한 타겟팅!]
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
사용자들을 특정 기준별로 분류하는
작업이 필요합니다.
관리자 페이지를 들어가면
이렇게 사용자 목록을 볼 수 있으실 겁니다.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a412a29e4c.png)
그리고 이곳에서 사용자들 별로 '그룹'을 생성할 수 있는데요!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f30500d028.png)
마케팅을 계획하는데,
아직 사용자를 그룹별로 정리하지 않았다?!!
그렇다면 지금 빨리 이 부분부터
설정하시기를 추천합니다.
마케팅의 기본은 역시나
"정교한 타겟팅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를
충족시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."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a41720cbd1.png)
이제부터는 예를 들어 알아볼까요?
앱/웹사이트, 쇼핑몰을 운영하는 사이트 관리자이시면
1.
가장 간단하게는 회원가입을 한 회원과 비회원으로
사용자를 나누어 볼 수 있을 겁니다.
또 다른 방법으로는
2.
적립금 별로 고객을 나눌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.
적립금이 높다면 아무래도 많은 상품을 구입한 고객일 것이고
이분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메세지를
보낼 수도 있겠죠.
3.
로그인 횟수는 어떨까요?
일정 횟수 이상의 로그인을 한 사람들과
그렇지 않은 사람들 등.
누적 로그인 횟수를 통해 충성 고객의 분류를
할 수도 있기 때문이죠.
(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목록 페이지 우측 상단 엑셀 다운로드 버튼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)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a41ae75844.png)
이처럼 관리자는 여러 기준으로 그룹들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.
회원그룹
비회원 그룹
적립금(0~5,000원) 그룹
적립금(5,000원~10,000원) 그룹
로그인 회수(0~50회) 그룹
로그인 횟수(50~100회) 그룹
위의 기준대로라면
총 6개의 그룹이 만들어졌고
이 그룹들에 마케팅을 할 때
필요한 그룹에만 메세지를 보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.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f3058bbb2b.png)
고객들을 더 세분화된 기준으로
나눌 수 있지는 않을까요?
고객들에게 설문조사를 요청하는 것은 어떨까요?
사이트 내에 '구글 설문지'링크를 걸어두고
고객들의 조금 더 세세한 정보를 확인하는 겁니다.
그리고 이를 토대로 고객들의 나이나 지역, 관심사 등
마케팅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합니다.
구글 설문지는 원하는 문항을 직접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
사이트의 특성에 맞는 문항들을 구성해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이렇게 정보를 획득했다면
이번에는 메세지를 보내볼까요?
[PUSH 보내기]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a424aabea6.png)
모바일에서의 사용량이 이제는
결코 PC보다 적다고 볼 수 없습니다.
오히려 위와 같이 몇몇 통계자료에서는
모바일의 사용량이 PC를 훨씬 상회합니다.
그렇기 때문에 모바일에서의 푸시(PUSH)를 보내는 서비스는
더더욱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데요.
요즘에는 이 푸시를 보내는 솔루션을 제공중인
회사도 다수 있습니다.
하지만!!
애드리빙의 경우,
앱을 통해 푸시를 무제한 보낼 수 있다는 점!
알고계신가요?
마케팅을 생각해봤을 때
더 중요한 건!!
바로, 위에서 만들었던 그룹별로
푸시를 보낼 수 있다는 점입니다.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S20151107563d481a400b8/59c23e7fc2232.png)
사용자 관리 > 메세지 보내기를 보시면
만들었던 사용자 그룹별로
메세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.
각 기준별로 고객들을 분류했기 때문에
이제는 푸시의 내용에 따라
적합한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
여기에 메세지의 내용을 한눈에 설명해줄 이미지도
첨부가 가능합니다ㅎㅎ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f30618abb8.png)
[PUSH를 보내는 주기]
그렇다면 이 푸시를 보내는 주기는 언제가 좋을까요?
물론 사용자 별로 적합한 이벤트를 진행할 경우,
각 사용자 그룹에 메세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.
또 다른 방법으로는 저번에 이야기 했던 '코호트 분석'을
이용하는 방법인데요.
사용자 유지율이 떨어지는 시기를
'코호트 분석'을 통해 파악하고
이 주기에 푸시를 보내주는 겁니다.
푸시를 받은 고객에게
"아! 내가 이 앱을 사용하고 있었지!"라는
지각을 줄 수 있어,
서비스 이용 유지율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^^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f306e5b4fe.png)
앱을 통한 푸시는
사용자들을 끌어들이는
강력한 수단일 수 있지만..
반대로 사용자들에게 보이는 점이
크기 때문에
이 푸시가 귀찮다고 느껴질 경우,
소비자와의 관계 형성에 악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.
때문에 이 푸시에 더욱 정교한 타겟팅이 필요하고
적절한 주기가 필요한 거죠.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f3079c9539.png)
오늘도 더 성공적인 마케팅을 위해
노력하시는 분들 모두,
고객분들과의 더 원만한 관계 형성을
기대할게요ㅎㅎ
띵동~~!
"푸시 알림, 메세지가 도착했습니다."
이런 경우 있지 않나요?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f304847da0.png)
푸시가 왔는데 나랑은
아무런 관련이 없는 푸시일 경우...
괜히 해당 업체에 대해 반감이 생기고
귀찮은 메세지를 보내는 업체라는
생각까지 들기도 합니다ㅜㅜ
아마 이런 푸시를 받아본 사용자분들이시라면
누구나 공감할 만한 내용 일 텐데요.
그렇다면!
이번에는 업체 입장에서..
사용자들의 반감을 사는 푸시는 줄이면서,
사용자들에게 업체를 상기시키는 방법은 무엇일까요??
[그룹화를 통한 정교한 타겟팅!]
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
사용자들을 특정 기준별로 분류하는
작업이 필요합니다.
관리자 페이지를 들어가면
이렇게 사용자 목록을 볼 수 있으실 겁니다.
그리고 이곳에서 사용자들 별로 '그룹'을 생성할 수 있는데요!
마케팅을 계획하는데,
아직 사용자를 그룹별로 정리하지 않았다?!!
그렇다면 지금 빨리 이 부분부터
설정하시기를 추천합니다.
마케팅의 기본은 역시나
"정교한 타겟팅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를
충족시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."
이제부터는 예를 들어 알아볼까요?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a41ae75844.png)
앱/웹사이트, 쇼핑몰을 운영하는 사이트 관리자이시면
1.
가장 간단하게는 회원가입을 한 회원과 비회원으로
사용자를 나누어 볼 수 있을 겁니다.
또 다른 방법으로는
2.
적립금 별로 고객을 나눌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.
적립금이 높다면 아무래도 많은 상품을 구입한 고객일 것이고
이분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메세지를
보낼 수도 있겠죠.
3.
로그인 횟수는 어떨까요?
일정 횟수 이상의 로그인을 한 사람들과
그렇지 않은 사람들 등.
누적 로그인 횟수를 통해 충성 고객의 분류를
할 수도 있기 때문이죠.
(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목록 페이지 우측 상단 엑셀 다운로드 버튼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)
이처럼 관리자는 여러 기준으로 그룹들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.
회원그룹
비회원 그룹
적립금(0~5,000원) 그룹
적립금(5,000원~10,000원) 그룹
로그인 회수(0~50회) 그룹
로그인 횟수(50~100회) 그룹
위의 기준대로라면
총 6개의 그룹이 만들어졌고
이 그룹들에 마케팅을 할 때
필요한 그룹에만 메세지를 보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.
고객들을 더 세분화된 기준으로
나눌 수 있지는 않을까요?
고객들에게 설문조사를 요청하는 것은 어떨까요?
사이트 내에 '구글 설문지'링크를 걸어두고
고객들의 조금 더 세세한 정보를 확인하는 겁니다.
그리고 이를 토대로 고객들의 나이나 지역, 관심사 등
마케팅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합니다.
구글 설문지는 원하는 문항을 직접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
사이트의 특성에 맞는 문항들을 구성해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이렇게 정보를 획득했다면
이번에는 메세지를 보내볼까요?
[PUSH 보내기]
모바일에서의 사용량이 이제는
결코 PC보다 적다고 볼 수 없습니다.
오히려 위와 같이 몇몇 통계자료에서는
모바일의 사용량이 PC를 훨씬 상회합니다.
그렇기 때문에 모바일에서의 푸시(PUSH)를 보내는 서비스는
더더욱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데요.
요즘에는 이 푸시를 보내는 솔루션을 제공중인
회사도 다수 있습니다.
하지만!!
애드리빙의 경우,
앱을 통해 푸시를 무제한 보낼 수 있다는 점!
알고계신가요?
마케팅을 생각해봤을 때
더 중요한 건!!
바로, 위에서 만들었던 그룹별로
푸시를 보낼 수 있다는 점입니다.
사용자 관리 > 메세지 보내기를 보시면
만들었던 사용자 그룹별로
메세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.
각 기준별로 고객들을 분류했기 때문에
이제는 푸시의 내용에 따라
적합한 사용자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
여기에 메세지의 내용을 한눈에 설명해줄 이미지도
첨부가 가능합니다ㅎㅎ
[PUSH를 보내는 주기]
그렇다면 이 푸시를 보내는 주기는 언제가 좋을까요?
물론 사용자 별로 적합한 이벤트를 진행할 경우,
각 사용자 그룹에 메세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.
또 다른 방법으로는 저번에 이야기 했던 '코호트 분석'을
이용하는 방법인데요.
사용자 유지율이 떨어지는 시기를
'코호트 분석'을 통해 파악하고
이 주기에 푸시를 보내주는 겁니다.
푸시를 받은 고객에게
"아! 내가 이 앱을 사용하고 있었지!"라는
지각을 줄 수 있어,
서비스 이용 유지율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^^
앱을 통한 푸시는
![](https://cdn.imweb.me/upload/59bf3079c9539.png)
사용자들을 끌어들이는
강력한 수단일 수 있지만..
반대로 사용자들에게 보이는 점이
크기 때문에
이 푸시가 귀찮다고 느껴질 경우,
소비자와의 관계 형성에 악영향을 끼치기도 합니다.
때문에 이 푸시에 더욱 정교한 타겟팅이 필요하고
적절한 주기가 필요한 거죠.
오늘도 더 성공적인 마케팅을 위해
노력하시는 분들 모두,
고객분들과의 더 원만한 관계 형성을
기대할게요ㅎㅎ